경상경비와 업무추진비 등을 줄여 5500억 예산 절감할 방침
과도한 복리비와 복리후생제 개선으로 복리후생 효율화 도모

【에너지타임즈】 에너지 공공기관 등 산업부 소관 41곳 공공기관이 2700명에 달하는 정원을 조정하는 한편 2027년까지 2조4000억 원에 달하는 자산 효율화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7월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발표 후 지난달 모두 확정된 5대 분야 기관별 혁신계획‧추진현황‧이행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18일 한국무역보험공사(서울 종로구 소재)에서 ‘2023년도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 혁신계획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발표된 혁신가이드라인 발표 후 마련된 산업부 소관 41곳 공공기관 혁신계획(안)은 민관합동 공공기관 혁신 T/F 논의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지난달 5대 분야 혁신계획이 모두 확정된 바 있다.
이들 공공기관은 경상경비와 업무추진비를 줄이는 등 예산 효율화를 통해 올해까지 55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절감할 방침이다. 또 과도한 복리비와 복리후생제도 등 107건 개선으로 복리후생 효율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라 이들은 유휴부지 등 비핵심 부동산과 비핵심 출자회사 지분 규모 등의 정비를 통해 2027년까지 2조4000억 원의 자산 효율화를 추진하게 된다.
산업부 소관 41곳 공공기관 정원 2700명이 조정된다. 비핵심업무 축소 등 기능조정으로 1430명,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 조직‧인력 효율화로 1730명, 정‧현원 차 축소로 960명 등이 각각 줄어든다.
최남호 산업부 기획조정실장은 “올해는 공공기관 혁신 추진에 있어 중요한 시기”라면서 “지난해는 공공기관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혁신계획 수립에 역점을 기울였다면 올해부터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혁신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공공기관이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산업부와 소관 공공기관이 하나의 팀이 되어 혁신계획을 속도감 있게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이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사항에 대해선 산업부도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애로 해소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특히 그는 “산업부는 2개월마다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할 경우 분야별 과제 추가 발굴과 보완을 추진하는 등 공공기관 혁신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