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출력제어 해소 여부와 신규 사업자 시장 진입 여부 변수
【에너지타임즈】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신규 양수발전 선정에 곡성·구례·금산·봉화·영양·합천 등 6파전이 관측되고 있다. 한수원·남동발전·중부발전·동서발전 등 발전공기업 4곳이 이들 후보지를 확정하고 신규 양수발전 사업자 선정에 참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일부 발전공기업이 전남지역에서 신규 양수발전 부지 물색에 나선 것은 추후 사업자 선정을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양수발전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정부가 현재 양수발전 운영사인 한수원을 제외한 발전공기업의 참여를 허용함으로써 흥행엔 성공했으나 경쟁이 치열해졌고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최종 사업자 선정을 두고는 행복한 고민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8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신규 양수발전 사업 의향 조사 공고를 냈다.
이 공고에 따르면 사업자 선정 신규 양수발전 발전설비용량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1.75GW에서 ±20% 이내다. 최대 2.1GW까지 선정된다는 것이다. 또 정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해 양수할 때도 출력조절이 가능한 가변속 양수발전이어야 하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의 시급성을 고려해 2035년 3월 이내 준공해야 한다는 조건을 걸었다.
본지 취재 결과 신규 양수발전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한국수력원자력(주)·한국남동발전(주)한국중부발전(주)·한국동서발전(주) 등 발전공기업 4곳이 곡성·구례·금산·봉화·영양·합천(가나다 順) 등 6곳을 후보지로 정하고 오는 10월 10일까지 신규 양수발전 건설의향서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한수원은 경북 영양에 2조1091억 원가량을 투입해 영양 양수발전(250MW×4기)과 경남 합천에 1조8792억 원가량을 투입해 합천 양수발전(225MW×4기)을 준비하고 있다.
남동발전은 충남 금산에 1조4000억 원가량을 투입해 금산 양수발전(250MW×2기), 중부발전은 전남 구례에 1조3000억 원가량을 투입해 구례 양수발전(250MW×2기)과 경북 봉화에 1조3000억 원가량을 투입해 봉화 양수발전(250MW×2기), 동서발전은 전남 곡성에 1조5000억 원을 투입해 곡성 양수발전(250MW×2기) 등으로 신규 양수발전 건설의향서를 낼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번 신규 양수발전 사업자 선정은 정부의 정책적 측면에서 결정될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이번에 발표된 공고에 심사기준을 살펴보면 ▲비용(10점) ▲재무·기술능력(25점) ▲지역수용도(20점) ▲부지·계통여건·지속가능성(45점) 등인데 신규 양수발전 건설을 추진하는 사업자와 후보지 등을 고려할 때 크게 변별력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광역지자체별로 후보지를 살펴보면 전남지역 2곳, 경북지역 2곳, 경남지역 1곳, 충남지역 1곳이다.
유독 호남과 인근 지역의 후보지가 집중된 이유는 이번 신규 양수발전 사업자 선정에서 유리할 것이란 판단을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호남지역에 보급된 태양광발전으로 출력제어 문제가 불거진 만큼 정부도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후보지를 선호할 것으로 본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할 때 호남 후보지인 곡성과 구례를 비롯해 호남과 인접한 경남 합천과 충남 금산이 유리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발전공기업 4곳이 모두 후보지를 갖고 있다.
특히 정부는 지리적 후보지 특성과 함께 사업자를 두고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선 사업자 선정은 양수발전 운영사인 한수원이 단독 사업자로 선정됐으나 이번엔 한수원을 제외한 발전공기업도 허용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신규 양수발전 수요가 많을 것으로 보고 선제적으로 사업자와 다양한 후보지를 발굴하자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보면 한수원을 제외한 발전공기업이 유리한 셈이다.
다만 앞으로 양수발전 보급이 불가피하고 노후 수력·양수발전에 대한 현대화 사업 등을 고려할 때 양수발전 국산화를 추진하는 한수원에 물량을 주지 않을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신규 양수발전 사업자 선정 또 다른 변수는 지역수용성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력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양수발전 필요성이 공유되고 수용성이 높아진 것은 반길만한 일”이라고 평가하면서 “다만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지자체는 괜찮겠지만 그렇지 못한 지자체는 큰 실망을 할 수밖에 없어 어렵게 끌어올려 놓은 수용성을 허무하게 놓칠 수 있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그는 “후보지 모두를 최종 후보지로 선정할 수 없다면 양수발전 수용성이 유지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