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뒤흔든 자원외교 전쟁 上
세계를 뒤흔든 자원외교 전쟁 上
  • 정치중 기자
  • jcj@energytimes.kr
  • 승인 2008.06.02 09:2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주요국, 핵심국가과제로 에너지 자원외교에 '올인'

석유·광물 등 자원개발분야의 ‘자원기업’들은 자원가격 상승에 힘입어 ‘글로벌 500大’ 기업에 대거 진입했다. 엑슨모빌, 로열더치셀, BP 등 석유 메이저 3사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0% 이상의 높은 매출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들은 자원부국내 신흥 국영기업의 등장으로 지위가 위협받자 시장지배력 유지를 위해 수익성이 낮은 하류부문사업을 정리하고 상류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BHP빌리턴, 리오틴토, 발레, 코텔코 등 광물부문의 상위 4개사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26~65%의 매출증가율과 20% 이상의 순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과점화 경쟁이 치열한 광물분야에서 세계 1~2위 광산업체인 BHP빌리턴과 발레는 공격적인 M&A 등을 통해 사업다각화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인도 등 신흥개도국들의 고도성장 지속과 자원부국의 산업다각화 정책 등에 힘입어 자원부국의 자원 보유 및 수출은 지속적 경제성장으로 연결돼 자원부국에서의 새로운 사업기회는 계속 창출될 전망이다.
태생적 자원수입국인 한국은 가격상승의 부담을 그대로 떠안기보다는 자원부국이 제공하는 사업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번 회에서는 해외경쟁국들의 사업 확대 사례에 대해 알아본다.

국제 자원개발 환경은 갈수록 어려어지고 있다. 개발이 쉬원 ‘Easy Oil'은 거의 소진되고 비용과 기술적 리스크가 크고 조업환경이 어려운 지역만 남아 있다. 그나마 고유가 구도와 잔원난 속에 영향력이 커진 자원부국들이 자원통제를 강화하고 있어 매장량 접근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과거 실패 딛고 자원사냥에 나서

가까운 나라 일본은 지난 2006년 ‘신 국가에너지전략’에서 2030년까지 국내 원유수입량의 40%를 자주개발원유로 충당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현재의 자주개발율이 10%내외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공격적인 목표다. 일본은 이를 위해 메이저급 중핵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내 석유개발 1위 기업인 인펙스社(일본정부 지분29%)를 중심으로 규모의 대형화 등을 통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석유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전략의 기본이다.

일본은 과거 민간과 정부의 어설픈 역할 분담에 따른 지분투자 위주 개발정책의 실패 사례를 거울삼아 메이저나 대규모 국영 석유사와 경쟁할 능력을 갖춘 중핵기업 양성을 기치로 내걸고 있다.

물론 정부는 산유국과의 자원외교와 협력을 통해 중핵기업들의 광권 확보를 측면지원하고, ‘일본석유가스자원기구(JOGMEC)를 통해 자금과 R&D를 지원하는 것을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

일본 종합상사의 자원확보 사례
- 미쓰비시, 미쓰이물산은 가즈프롬(러)이 주도하는 사할린-2 프로젝트에 각각 20%,       25%의 지분출자로 연간 750만배럴의 원유를 확보
- 카스피해의 ACG프로젝트에는 1996년부터 이투추가 참가해 지분의 약 4%, 2002년에    는 인펙스가 10%의 추가 지분 확보에 성공

<자료>삼성경제연구소

그러나 일본의 석유개발의 사례는 실패에 가깝다는 것이 중론이다. 국제경쟁력을 갖춘 국영석유사를 집중 양성하고 이를 통해 자원 확보에 성공한 여타 선진국에 비해 성과가 낮기 때문이다.

일본보다 경제규모가 뒤지는 프랑스나 이태리가 Total이나 ENI라는 메이저급 국영석유회사를 육성(성장후 민영화)해 자국 소비량의 50% 이상을 확보한 사례와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

중국, 자금력과 국영기업

중국은 2010년까지 수입 원유의 1/3을 해외자주개발원유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공격적인 자원확보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해외 석유자원 확보의 특징은 강력한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3대 국영 석유사를 내세워 공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점이다.
중국의 자원외교는 3대 핵심 외교정책중 하나로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가 직접 나서 중앙아시아·아세안·아프리카·중남미 등 저개발 산유국들을 직접 공략하고 있다.

여기에는 저개발국에 대한 차관 공여뿐만 아니라 무기판매, 기반시설 건설 등 다양한 옵션이 포함되는 총력전이 포함돼 있다.


수단이나 리비아, 이란과 같이 서방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서방 회사들이 진출을 꺼리는 지역을 집중 공략하는 틈새전략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의 수단 진출은 성공사례의 하나로 수단 생산량의 40%를 중국이 도입하고 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국영 석유사에 대한 신용공여, 우대 금리 등 재정 지원을 통해 해외자원 확보를 적극 후원하고 있다.


중국 국영석유사들은 이런 정부의 지원과 유가 급등에 따른 막대한 재원, 국영석유사의 홍콩과 미국증시 상장에 따른 자금 확보로 국제시장에서 적극적인 매수전략을 펴고 있다. 중국은 상업적인 접근보다는 국가전략적인 관점에서 일관되게 자원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당초 다소 무모하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유가와 자산 가격이 급등한 현재 시점에서 보면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도정부는 90년대 말까지 국내 에너지 정책과 해외 에너지 외교정책에 관한 종합적인 목표와 전략이 부재한 상태였기 때문에 지난 2000년 총리지시로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하고, 향후 25년간의 에너지 안보 종합전략 비전(Hydrocarbon Vision 2025)을 수립해 장기적인 전략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국가적인 대응을 추진해오고 있다.


동 비전에 따라 인도정부는 국내 석유와 디젤유의 90%를 자력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왕성한 에너지자원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또 지난 2005년 중순으로 예정된 싱하총리의 방미시, 인·미국 정상 회담을 통해 98년 인도의 핵실험의 영향으로 미국측의 제약을 받아온 원자력 발전분야에서 미국측의 기술원조 및 협력을 확보하기 위해 외교적인 노력을 경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정부에서는 정부차원에서 석유 및 천연가스 분야는 석유천연가스부가 기타 전기에너지 분야는 전력부가 전담해 탐사·개발·정제 등에 대한 종합ㅈ거인 정책마련, 계획 수립 및 집행을 관장하고 있다.


민간기업은 정제분야에서 인도의 대표적인 민간기업 중의 하나인 Reliance 그룹이 일부 참가하고 잇는 외에 석유 및 천연가스 사업 대부분을 8개의 공기업 및 수십 개에 달하는 그 자회사들이 주축이 되고 운영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