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원자력 르네상스는 인력확보가 관건이다.
<칼럼> 원자력 르네상스는 인력확보가 관건이다.
  • 에너지타임즈
  • webmaster@energytimes.kr
  • 승인 2010.02.19 19:3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군철 교수(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UAE 원전 수주의 축제 신호탄이 쏘아 올려진지도 벌써 2달이 지나 이제는 흥분이 가라앉은 듯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앞으로는 차분히 수출사업과 국내 건설사업을 준비하고 이것저것을 챙겨 이번의 찬스가 진정한 원자력 르네상스로 이어 지게끔 해야 할 것이다.

사실 이번 수주는 우리에게 정말 그간의 노력에 대한 기쁨의 보상과 미래 원자력업계의 희망을 줬지만 또 한편으로는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다. 늘어나는 건설·운영과 규제업무를 맡아야 할 인력, 그리고 원천 기술개발과 미래원자로 개발 연구를 수행할 연구인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그 중 하나이다. 

 돌이켜 보면 이번 원전수주의 성사는 우리가 옛날 한강의 기적을 이루게 된 원인과도 너무나 유사하다. 즉,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나라이므로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에너지안보가 바로 생명이자 누구보다도 절박한 문제다.

그러다 보니 역대 우리 지도자들, 특히 이승만·박정희 대통령 그리고 현 이명박 대통령은 원자력 기술확보에 남다른 애정을 보였다. 그 다음은 맹렬한 교육열이다. 물론 이 때문에 많은 사회적 물의도 빚고 있지만 우수한 인력이 필요한 우리 원자력산업으로서는 큰 원동력이 되어 왔다.

실제로 현 원자력계에 종사하는 2만명 가량의 종사자중 80%(전문학교 14.8%, 학사 47.3%, 석·박사 17.7%)가 대졸 이상 출신들이다. 다음으로는 우리 기술자들이 그간 새로운 기술을 배우기 위해 보였던 어느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강한 정열이다. 이는 우리나라 모든 산업체에서도 공히 볼 수 있었던 일이였고 이것이 자원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의 경제를 이만큼 끌어 올렸다. 

 원자력산업의 특징 중 하나는 기술산업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고급인력이 필요하다. 물론 설계, 건설부분에서도 많은 인력이 필요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8기가 건설 중이며 2030까지 10기를 더 건설할 예정이다.

여기에 수출물량까지 소화해야 하니 그 부담이 결코 만만치 않다. 전 세계적으로도 2030년까지 약 300기를 추가 건설할 계획이어서 실무인력은 약 10만명, 리더급 전문기술인력은 약 1만명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적으로 늘어나는 원전 건설과 운영에 따른 규제인력의 양성도 그렇고 차세대에 보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원자로를 개발하여 미래의 원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와 같은 소동력로, 차세대 GEN-IV 원자로, 핵주기 완성 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한 고도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것은 원자력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대학인으로서 엄청난 부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원자력 인력시장은 현재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초기 건설과 기술개발에 참여했던 기술인력이 노령화되고 많은 이들이 은퇴해 나가고 있다. 그간 반핵분위기에 따라 원자력산업이 3D업종으로 전략함에 따라 우수한 인력들이 많이 수혈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원자력산업계가 타 산업과는 달리 너무 규모가 비대한 체계라서 유연성이 부족하고 상호 경쟁력이 미흡하다. 이는 인력수급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유연성과 매력을 잃는 경우가 많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원자력산업의 잘못된 인식 때문에 대학생들의 원자력산업계 지망이 거의 최하위권을 맴돌고 있다는 것. 이는 우수한 학생들이 오지 않고 그 학생들마저 원자력계에서는 직장을 구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장·단기적으로 고급인력을 확보해 어렵게 맞이한 이번 기회를 원자력 르네상스로 이어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대학에 우수한 학생들이 많이 오게끔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채용에 지원자들의 전공을 인정해 주고 인력시장을 보다 유연하게 하는 등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는 현 교육 체계를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화시키기 위한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학, 현재 설립 중인 한전 원자력대학원 대학교 등 기관별 교육기관들의 역할 분담 및 활성화를 종합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이다. 대학정원을 늘린다거나 원자력학과를 늘리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은 방향이라고 본다.

지금도 졸업하는 학생들을 다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얼마나 우수한 학생들을 양성하고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들을 원자력산업발전에 기여 하도록 하는 것이다.

원자력 르네상스의 약속은 인력양성이 관건이다. 업계 관계자들 모두가 지혜를 모아 이 문제를 풀어 나가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