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발전 시장 신호 미약…산업 활성화 걸림돌
양수발전 시장 신호 미약…산업 활성화 걸림돌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3.05.10 11: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연재 - 탄소중립 시대! 불변의 진리 ‘양수발전’
④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부회장

中·美·인도 등 탄소중립 대비 대규모 양수발전 건설 확정

장기 양수발전 수요 확정돼야지만 산업 생태계 조성 가능

국산화 다시 없을 기회 도래…국가 R&D로드맵 반영 건의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부회장.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부회장.

【에너지타임즈】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재생에너지,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단점인 간헐성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게 됐다. 그 대안은 양수발전이다.

다만 신규 양수발전 수요에 맞춰 적기에 발전소가 건설되고 운영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이와 함께 중요한 것은 양수발전 산업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야만 온전하게 우리 손으로 양수발전을 건설하고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산화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우리 양수발전은 외국 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물론 일부 기자재가 국산화되긴 했지만 온전하게 양수발전 기술을 우리는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기술력이 부족해 그런 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양수발전 시장을 보장받지 못하면서 양수발전 국산화 필요성이 없었다. 그런데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되면서 지속 가능한 양수발전 시장이 열리고 있다.

결론적으로 양수발전 시장이 확대되면서 양수발전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기반이 찾아왔다는 얘기다. 양수발전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다시 없을 기회가 찾아왔다는 것이다.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부회장은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장기적 측면의 양수발전 건설 계획을 내놓으면서 양수발전 시장을 육성한다는 신호를 주면서 탄소중립 시대에 대비하고 있으나 우리 정부는 미약한 신호를 주고 있어 국산화 등 양수발전 산업 생태계 조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부가 양수발전 시장 확대란 신호를 주지 않으면 국산화를 중심으로 한 양수발전 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지금처럼 양수발전 기술을 외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고, 그에 따른 정비 불편과 함께 비용 상승 문제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는 얘기다.

김 부회장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2036년까지 포함된 신규 양수발전 물량이 3.5GW에 머물러 양수발전 국산화와 양수발전 산업 생태계 육성에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2036년 이후 양수발전 필요량을 검토하고 발표해 그에 따른 입지개발과 기술개발, 인력양성 등 양수발전 시장과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양수발전은 대규모 토목공사를 동반함으로써 인허가 포함 10년 이상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불가피한 가운데 당장 양수발전이 필요할 때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면 인허가를 받고 건설한다고 해도 그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2050년까지 양수발전 수요를 검토해서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의 신호는 양수발전 시장을 예측하는 잣대가 되고 관련 기업들이 기술개발에 뛰어드는 등 양수발전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부회장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추진하는 주요국 양수발전 계획을 소개했다.

인도는 최근 2032년까지 26.7GW까지 양수발전을 확대한다는 계획과 함께 발전설비용량 73.2GW에 달하는 양수발전 부지를 발전사에 할당하는 계획과 인허가 간소화를 비롯한 자금지원과 세금면제 등의 내용을 담은 포괄적 지원지침을 확정한 양수발전 프로젝트 촉진 지침을 발표했다. 현재 인도는 8개 양수발전소(발전설비용량 4.74GW)를 운영하고 있고 4개 양수발전소(2.78GW)를 건설하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1200GW에 달하는 풍력·태양광발전을 보급하기로 한 가운데 제14차 에너지 개발 5개년 계획에 2030년까지 양수발전 120GW 보급을 목표로 설정했다. 지난해 기준 발전설비용량 46GW에 이르는 양수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2025년까지 270GW에 달하는 양수발전 건설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재생에너지 비중이 22%에 이르면서 민간 주도로 85GW에 달하는 양수발전 프로젝트가 인허가 등을 거쳐 개발 중이다. 이중 예비 허가 발급 프로젝트는 56개 프로젝트 46.5GW, 심사 중인 프로젝트는 56개 프로젝트 38.1GW다. 현재 미국은 발전설비용량 22GW에 달하는 43곳 양수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재생에너지 보급이 늘어나고 있음을 고려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을 중심으로 대규모 양수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국립대에서 수행한 세계 양수발전 입지 연구 결과.
호주국립대에서 수행한 세계 양수발전 입지 연구 결과.

김 부회장은 정부가 신호를 주고 싶어도 제한된 국토로 인해 양수발전 입지가 마땅치 않다는 일각의 지적에 충분하다고 일축했다.

이어 그는 2017년 앤드류 블라커스(Andrew Blakers) 호주국립대 교수팀이 수행한 세계 양수발전 입지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계 양수발전 입지는 모두 6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고, 우리나라에서도 100개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면서 그는 양수발전과 관련된 입지 부족 인식 개선과 함께 양수발전 보급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에 양수발전 잠재량 지도 개발을 정부에 제안했다.

이뿐만 아니라 김 부회장은 인도와 중국, 미국 등의 양수발전 시장 신호와 비교할 때 우리 신호가 너무 약해 양수발전 기술개발 명분 또한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관련 기업이 양수발전 기술개발에 투자할 명분이 약하다는 것으로 양수발전 보급이 확대되더라도 기술개발이 이뤄지지 못해 앞으로도 우리는 외국 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한수원이 기업의 기술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해외 양수발전 시장을 개척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역부족이란 것이다.

그는 신규 양수발전 건설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양수발전 문제점을 파악해 설계에 반영해야 하고 잦은 기동과 정지에 따른 운전조건을 고려한 설계를 고도화하는 것과 함께 현재 운영되고 있거나 새롭게 건설된 양수발전의 고장정비와 노후화에 따른 교체를 할 때 외국 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기술개발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수력산업협회는 양수발전 사업자인 한수원과 함께 국책 연구기관 지원을 받아 양수발전 국산화를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이 같은 노력과 함께 양수발전 기술개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국가 R&D 로드맵에 양수발전 국산화를 반영한다면 기술개발 기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정부에 제안했다.

또 그는 양수발전 국산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양수발전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력시장도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럽처럼 용량요금 100% 지급과 함께 보조 서비스 현실화 등이 필요하고 언급하면서 이 같은 기반이 없으면 양수발전 확대는 더디거나 어렵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특히 김 부회장은 현재 수력발전과 양수발전 국산화 계획으로 소형 수력발전과 대형 수력발전, 소형 양수발전, 대형 양수발전 등의 순으로 기술개발을 하는 것으로 돼 있으나 현재 운영 중인 양수발전과 새롭게 건설되는 양수발전의 원활한 정비와 교체를 비롯해 해외 양수발전 시장 진출에 대비하기 위해 소형 양수발전을 건너뛰고 바로 대형 양수발전 국산화를 추진하는 것은 한수원에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소형 양수발전 국산화를 거쳐 대형 양수발전 국산화를 추진한다면 너무 늦어질 수 있어서 그렇다.

그러면서 그는 양수발전 국산화가 조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부회장.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부회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