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 곧 수립…전담조직 출범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 곧 수립…전담조직 출범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3.01.30 20:0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전전략 검토하는 한편 수립 이후 원활한 이행 전담 예정
글로벌 시장 확장…주요국 다양한 지원정책 추진하고 있어
전력망 구축을 위한 에너지스토리지 기반 포함될 것 관측
핵심기술 개발과 제도 마련 등 시장 창출 계획 반영 기대
산업부 청사.
산업부 청사.

【에너지타임즈】 전력을 저장함으로써 발전소와 송전선로 건설비 등 투자비를 줄이는 한편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등이 가능한 에너지스토리지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2036년까지 최대 45조 원에 달하는 투자가 있을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을 검토하는 한편 해당 전략 수립 이후 원활한 이행을 전담하게 될 조직이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진출에 초점을 맞춰 올해 상반기 수립 예정인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과 관련한 기관과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역할을 하게 될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를 30일 출범시켰다.

이날 출범한 이 T/F는 에너지스토리지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정부가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을 수립한 이후에도 원활한 이행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송전선로 건설 지연 등에 따른 발전소 과잉 출력에 따른 출력제한이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해 과잉 출력에 따른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비중은 26.3%, 호남지역 23.7%로 집계되는 등 전력계통 불안전성 심화와 재생에너지 과잉 출력에 따른 출력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경우 출력제한은 2017년 1300MWh, 2018년 1366MWh, 2019년 9223MWh, 2020년 1만3416MWh 등으로 집계된 바 있다.

재생에너지 등의 경직성 자원이 확대되는 반면 가스복합발전 등 유연성 자원이 축소됨에 따른 전력망 불안정성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에너지스토리지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제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가스복합발전과 수소‧암모니아발전 등 유연성 자원은 2021년 29%에서 2030년 25.0%, 2036년 16.4% 등으로 줄어드는 반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등 경직성 자원은 같은 기간 34%에서 54.0%, 65.2%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에너지스토리지 필요성이 강조됨에도 실제로 설치된 국내에 건설된 에너지스토리지는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대표적인 에너지스토리지인 ESS는 재생에너지 보급과 연계해 10GWh 규모이며,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까지 1GWh, 2018년 3.8GWh, 2019년 1.8GWh, 2020년 2.8GWh, 2021년 0.3GWh, 2022년 0.2GWh 등으로 집계됐다.

2021년부터 ESS 설치가 눈에 띄게 줄어든 이유는 2021년 2건과 2022년 8건의 ESS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2014년부터 도입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지원과 전기요금 할인, 설치비 지원 등의 제도가 2020년 이후 대부분 일몰된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최근 확정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유연하고 강건하면서도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고, 2036년까지 26GW에 달하는 에너지스토리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최대 45조50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국내 장주기 에너지저장기술은 상용화 정도와 원천‧부품 소재 기술 수준, 실증 경험 등 전반적으로 선진국보다 열세에 있고, 리튬이온전지‧양수발전 등 일부 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도달했으나 나머지 기술개발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국내 에너지스토리지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에너지스토리지 시장은 크게 확장되고 있고, 주요국들은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블룸버그 NEF가 지난달 발표한 ‘Global Energy Storage Outlook 2021’이란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ESS 시장 규모는 2021년 110억 달러에서 2030년 2620억 달러까지 성장하고 설치 규모는 연평균 36.5%씩 증가해 2030년엔 1028GW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은 2020년 12월 중장기 ESS 로드맵을 마련한 바 있고, 영국은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한편 대규모 ESS 프로젝트 필수조건 완화와 ESS 보조서비스 이용 요금 부과 등 보급 확대 기반을 마련했다. 독일은 재생에너지 연계 ESS 대상 대출과 상환 보조금 지급과 재생에너지 수익 규제로 시장 참여자 자발적 ESS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산업부는 국내외 상황을 고려해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 조성과 해외시장 진출에 초점을 맞춘 중장기 계획인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 수립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먼저 이 발전전략에 국내 전력망 구축을 위한 에너지스토리지 기반을 마련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장주기‧대용량‧다양화 ESS를 검토하는 등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을 목표로 에너지스토리지 계획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핵심기술 개발과 PPA 연계 등 제도 마련을 통한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계획도 이 발전전략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호남 지역의 전력계통 불안정성 보완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좌초자산 되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에너지스토리지 도입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양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계획 마련과 연구개발‧실증‧사업화 지원 등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 조성과 나아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는 이날 에너지기술평가원(서울 강남구 소재)에서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는 에너지스토리지 발전전략 수립 방향과 해외 정책 동향 분석 등을 논의하는 장으로 꾸며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