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대응방안 PPA…서두를수록 기업경쟁력 ‘업’
RE100 대응방안 PPA…서두를수록 기업경쟁력 ‘업’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2.09.21 10:3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태한 수석연구원, 당장 손해보더라도 미래 편익 늘어날 것
장기고정가격 체결…전기료‧배출권 인상 불가피한 구조 전망
정훈 연구위원, 탄소국경조정제 대비 정부 전반위 노력 필요
장기적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대안으로 R&D 지원 손꼽아
두산중공업에서 개발해 국가풍력실증센터(전남 영광군 소재)에 설치된 8MW급 해상풍력발전기 시제품.
두산중공업에서 개발해 국가풍력실증센터(전남 영광군 소재)에 설치된 8MW급 해상풍력발전기 시제품.

【에너지타임즈】 글로벌 RE100 대응 압박을 받는 기업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PPA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장은 PPA가 고가여서 손해를 보는 것 같지만 20년 장기 계약에다 고정가격으로 계약이 체결되기 때문에 녹록하지 않은 환경을 고려할 때 PPA를 서두르면 서두를수록 기업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김태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은 지난 20일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에서 대한전기협회 주최로 열린 ‘RE100 / 탄소국경조정제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글로벌 RE100 동향과 기업의 대응’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 같은 주장을 했다.

지난 20일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에서 전기협회 주최 ‘RE100 / 탄소국경조정제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김태한 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이 ‘글로벌 RE100 동향과 기업의 대응’을 주제로 한 발표를 하고 있다.
지난 20일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에서 전기협회 주최 ‘RE100 / 탄소국경조정제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김태한 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이 ‘글로벌 RE100 동향과 기업의 대응’을 주제로 한 발표를 하고 있다.

 

이날 김 연구원은 기업의 재생에너지 수요를 촉진해 재생에너지 공급을 견인하자는 캠페인인 RE100의 글로벌 동향과 함께 기업의 대응전략을 공유하면서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어필했다.

그는 PPA 관련 통상적으로 장기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PPA를 체결한 기업은 전력과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s)를 동시에 얻게 되며 그에 따른 효과를 비용 측면에서 설명했다.

먼저 김 연구원은 PPA 체결 기업은 전력구매비용과 REC구매비용에 들어가는 계약단가와 함께 전력망 요금을 내게 되게 되는데 이때 따라오는 편익은 전기요금을 낼 필요가 없고 배출권 비용을 낼 필요가 없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기업이 비용 편익을 볼 때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선 비용이 내려가고 편익이 올라야 하는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기업은 재생에너지 가격이 내려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전기요금과 배출권 가격을 예측한 뒤 (계약 기간인) 20년간 누적합산이 플러스가 되는지와 마이너스가 되는지를 살펴봐야 할 것”이란 의견을 내놨다.

또 그는 통상적으로 재생에너지 가격이 내려가고 있으나 국내에선 내려가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앞으로) 전기요금은 높아질 수밖에 없는 요인이 있고 배출권 가격도 높아지는 그런 상황으로 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전망하면서 “지금 당장 PPA 가격이 높더라도 PPA는 고정가격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전기요금과 배출권 가격 시나리오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편익이 높아지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은 ‘탄소국경조정제 동향 / 기업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국가 차원의 전방위 노력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대안은 R&D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7월 2023년부터 철강‧시멘트‧비료‧알루미늄‧전기 등 탄소배출이 많은 품목에 탄소국경조정제를 시범 시행한 뒤 2026년 전면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제도는 자국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수입되는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로 국내 수출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지난 20일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에서 전기협회 주최 ‘RE100 / 탄소국경조정제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이 ‘탄소국경조정제 동향 / 기업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를 하고 있다.
지난 20일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에서 전기협회 주최 ‘RE100 / 탄소국경조정제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이 ‘탄소국경조정제 동향 / 기업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를 하고 있다.

 

정 연구위원은 정부의 역할과 관련해서 앞으로 입법 과정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무역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협상 노력이 필요하고 기후클럽 등과의 공조 강화, 기후변화협약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국내 배출권거래제도를 통해 감면이나 면제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제 강도의 상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다양하게 생기는 환경규제가 국내 규제와 중복되지 않도록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정교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이와 함께 정 연구위원은 국내 산업계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투명한 정보 공개와 민관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소개하면서 탄소국경조정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기업은 청정에너지 사용을 확대해야 하고 정부는 제도적으로 이를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기업 차원에서 사업별 공정 탄소 배출량 산정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탄소 저감 노력이 필요하고, 탄소 중립 경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정 연구위원은 탄소국경조정제에 대응하고 장기적으로 탄소 저감에 중요한 정책으로 R&D 지원을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