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LNG 수입단가 민간 2배?…공공성 지킨 결과
가스공사 LNG 수입단가 민간 2배?…공공성 지킨 결과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22.06.17 13:5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희봉 사장, SNS 통해 직접 해명 나서는 등 불편한 심기 드러내
이 같은 원인으로 민간 체리피킹과 가스공사 수급관리의무 손꼽아
판매자 같은 조건이라면 장기계약이든 현물이든 유리한 조건 제시
민간 유리하면 수입 늘리는 한편 불리하면 수입 줄이고 있다 주장
가스공사 공공성 포기했다면 수조원에 달하는 시세차익 누렸을 것
잘못된 사실관계 분석 아니면 다른 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언급
가스공사 평택LNG기지에서 하역 중인 LNG선.
가스공사 평택LNG기지에서 하역 중인 LNG선.

【에너지타임즈】 중앙일간지를 대표하는 조‧중‧동이 연일 가스공사 때리기에 나선 모습이다. 이유는 한전이 최악의 적자를 낸 상황인데 가스공사가 연료인 LNG를 고가에 들여오면서 한전의 적자를 부추겼다는 것이다.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SNS를 통해 직접 해명에 나서는 등 억울함을 표시하면서 다른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난 16일 조선일보는 한무경 의원(국민의힘)이 낸 자료를 인용해 가스공사가 민간발전사보다 LNG를 2배나 비싼 가격에 수입했다고 밝히면서 세계 최대 LNG 수입업자인 가스공사가 가격 협상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단독으로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으로 LNG 통관가격을 비교할 때 가스공사는 mmbtu당 24.46달러에 LNG를 수입해 11.93달러인 민간보다 2배를 웃돌았다. 올해 1분기에도 가스공사는 20달러에 수입했으나 민간은 12달러에 들여왔다. 또 지난해 가스공사는 민간보다 20%, 2달러대까지 떨어졌던 2020년 30%나 비싸게 도입했다.

그러면서 이 언론은 민간과 달리 의무 도입에 책임이 있다는 점은 가스공사 가격 협상력을 떨어뜨리고 있고, 물량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우선되면서 세계 최대 LNG 수입업체지만 구매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보도에 가스공사 측은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또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도 SNS를 통해 사실관계에 대한 분석이 잘못됐음을 주장했다.

채 사장은 가스공사가 구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판매자가 장기계약이든 현물이든 민간보다 가스공사에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다녀온 싱가포르 출장을 통해 “가스공사는 한국‧일본에 수입되는 평균 LNG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오퍼를 하지만 민간은 이보다 높은 가격으로 오퍼를 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민간과 시기 등 같은 조건에서 장기계약이든 현물이든 오퍼를 받는다면 가스공사가 더 유리한 조건으로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LNG 수입 가격을 비교할 때 장기계약은 장기계약끼리, 현물은 현물끼리 비교를 해야지만 왜곡이 없다고 강조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LNG 도입가격이 가스공사보다 민간기업이 더 낮다는 지적에 대해 채 사장은 민간의 체리피킹(Cherry Picking)과 가스공사의 수급관리 의무를 손꼽았다. 체리피킹은 일부 제품만 구매하는 현상을 일컫는데 민간이 해외에 재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그는 국제시장에서 판매자 우위 시장일 때 판매자는 높은 가격을 요구하게 된다고 언급한 뒤 이 같은 상황에서 민간은 장기계약에 나서지 않고 가스공사로부터 공급을 받기를 요구하면 가스공사는 공급의무 때문에 고가에 LNG를 도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반대로 구매자 우위 시장일 때 구매자는 낮은 가격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에 민간은 가스공사 장기계약보다 낮은 가격에 LNG를 들여오게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민간은) 선택적으로 유리할 때만 자신들이 도입하는 소위 체리피킹을 하는 것”이라고 밝히면서 “(구매자 우위 시장에서) 가스공사가 민간의 물량을 대신 들여왔다면 오히려 그것보다 싼 가격으로 들여왔을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특히 그는 “지난해 LNG 공급 부족과 올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현물 가격이 극도로 비싸지는 상황에서 민간이 현물의 도입을 꺼리게 되면서 그 부담이 가스공사에 전가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전력 부족 사태에 대비해 가스공사는 고가지만 LNG 수급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가스공사에서 낸 자료에 따르면 2020년 MMbtu당 동북아 현물이 3.83달러일 때 가스공사 물량은 전년 대비 292만 톤 줄었으나 민간은 215만 톤 늘었다. 반면에 2021년 15.04달러일 때 가스공사 물량은 653만 톤 늘었으나 민간은 58만 톤 줄었다.

이 자료는 구매자 우위 시장에선 민간의 LNG 도입량이 늘었고 반대로 판매자 우위 시장에서 줄어든 것은 민간이 유리할 때 수입을 늘리고 불리할 때 수입을 줄이는 채 사장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인 셈이다.

특히 채 사장은 천연가스 산업의 공공성 유지 중요성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기사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가스공사가 지금 시점에서 공공성을 포기하고 싸게 들여오기로 한 장기계약 물량 중 300만 톤을 국제시장에 팔았다면 앉아서 1조 원이 훨씬 넘고 때론 수조 원에 달하는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그는 “제가 민간 사장이라면 고가의 현물도입을 포기하고 오히려 현재 싸게 들여오고 있는 장기도입물량을 해외현물시장에 내다 파는 결정을 내릴 것이고 이런 식으로 장사를 한다면 가스공사 주가는 최소한 수백%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다만 공공성과 수급관리책임을 지는 가스공사는 그렇게 이윤만을 추구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원료비 상승에도 불구하고 도시가스 요금이 제때 인상되지 못하면서 가스공사 미수금이 6조 원에 달하고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있고, 일부에선 수급관리과정에서 가스공사가 떠안은 부채비율 증가를 마치 방만한 경영에서 기인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채 사장은 사실관계에 대한 분석이 잘못됐거나 다른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한편 지난 10일 중앙일보는 ‘가스공사 수요 예측 실패…한전 최악의 적자 불렀다’란 제목의 기사를 단독 보도한 바 있다.

이 언론은 자사에서 입수한 자료를 인용해 한전이 사상 최대 적자를 낸 2022년 1/4분기에 LNG 수요 예측을 잘못했기 때문에 한전의 적자를 키웠고, 그 근거로 현물(SPOT) 물량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이 자신의 SNS인 페이스북에 올린 글 캡쳐.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이 자신의 SNS인 페이스북에 올린 글 캡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