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E 확대 불가피…전력망 대대적 혁신 드라이브
재생E 확대 불가피…전력망 대대적 혁신 드라이브
  • 신미혜 기자
  • ssr7@energytimes.kr
  • 승인 2022.01.08 20:4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0년까지 전력망 보강에 필요한 잠정 투자액 78조 적기 투자 추진
유연한 전력망 운영 통해 재생E 수용성 높이고 전력계통 안정화 도모
기존 전력계통시스템 전반적으로 재정립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추진

【에너지타임즈】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으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력망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는 단순한 발전설비 증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존 전력망에 큰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탓에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최근 한전과 전력거래소를 비롯한 민간전문가 등과 함께 이 문제를 풀어내기 위한 전력계통 혁신방안을 수립하고 발표했다.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과 2050년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태양광·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현재 전력계통은 이를 수용할 수 없는 도전과제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이 방안에 담겨 있다.

특히 전력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망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전력망의 유연한 운영과 전반적인 제도 개선 등을 중심으로 한 전력망에 대한 대대적인 혁신이 이뤄진다. 

송전선로. / 사진=뉴시스
송전선로. / 사진=뉴시스

전력계통은 발·송·변·배전설비와 고객 설비로 구성돼 있으며, 전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돼 송전선로와 변전소, 배전선로 등을 거쳐 고객에게 공급된다.

한전이 송·변전 사업자로서 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해 보강하는 한편 전력거래소가 전력계통 분석과 운영계획을 통해 관리하는 등 그 역할이 분리돼 있다.

2021년 11월 말 기준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송전선로는 ▲765kV 1024km(3%) ▲345kV 9899km(28%) ▲154kV 2만3622km(69%) 등 모두 3만4646km 등이며, 변전설비는 ▲765kV 8곳(1%) ▲345kV 118곳(13%) ▲154kV 764곳(86%) 등 모두 890곳 등이다.

배전설비는 ▲선로 53만182km ▲지지물 993만1666기 ▲변압기 238만1994대 ▲전력량계 2283만3833대 등이며, 한전이 배전사업자로서 설비계획을 수립해 보강하고 관리까지 맡고 있다.

우리나라 전력계통 특징으로 인근 국가와 전력망이 연결되지 않아 잉여 전력을 거래할 수 없다는 점과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교류 설비로 구성돼 있다는 점을 비롯한 대부분 발전소가 수도권 이외에 있으나 소비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 등이 손꼽힌다.

특히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수요시설 수도권 추가 입지가 예상되고, 재생에너지 보급이 호남과 영남 등 남부권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은 지역 간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한 전력망 보강에 대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이 같은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력계통 혁신방안’을 수립해 발표했다.
 

先 전력망 後 발전 패러다임 전환
수용성 제고…지역주민 혜택 확대

정부는 지역별 분산 전원 확대 등을 고려한 최적의 전력망 건설 투자 규모를 산출하고 투자를 선제적으로 추진한다.

제9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 반영된 2030년까지 송·변전설비와 배전설비의 투자 규모는 23조4000억 원과 24조1000억 원이다. 여기에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에 따른 재생에너지 확대 등은 전력망에 30조 원이 더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써 2030년까지 전력망 보강에 필요한 투자액은 7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정부가 적기에 투자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지역별 최대전력수요 추정과 신재생에너지 용량 예측, 분산 전원 확대 등을 반영한 전력망 보강 로드맵이 내년 상반기 중으로 수립된다.

재생에너지가 적기에 전력계통에 연계될 수 있도록 전력망을 먼저 구축한 뒤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된다. 송전선로 건설 기간이 민원 등으로 늘어나는 반면 재생에너지 등의 보급으로 발전소 건설 기간이 짧아지면서 발전소를 건설하고도 가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해 보자는 것이다.

정부는 전력망 추가 투자 등을 반영한 전력망 보강계획(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한 뒤 이 계획을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발전 허가 시 반영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송전사업자인 한전은 서남해와 신안 등에서 추진되는 대규모 풍력발전 사업에 대비해 공동 접속설비를 사전에 구축해야 하며,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에 단계적으로 확대를 검토하게 된다.

전력망 건설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민원 등을 줄이는 등 주민 수용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주민 합의가 이뤄진 사업의 지역주민지원사업 비율을 상향하는 한편 송·변전설비에 대한 주민 친화적 디자인 도입과 변전소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이해관계자에 대한 혜택이 확대된다.

정부는 주민과 지자체 참여 활성화를 위해 송·변전설비 입지선정위원회 법제화를 추진하는 등 신속한 송·변전설비 건설을 위한 전원개발촉진법 등 관련 법령 개정으로 절차를 개선하기로 했다.


디지털 기반 전력계통 운영
운영 기준과 거버넌스 정립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전력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유연한 전력망 운영으로 돌파구를 찾는다. 재생에너지 수용성을 끌어올리고 전력계통 안정화를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유연한 전력계통 운영이 가능하도록 2025년 실시간 원격 제어가 가능한 통합관제시스템 구축과 함께 발전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지원되고 보급형 단말장치가 개발되는 등 디지털 기반 전력계통 운영 기반이 구축된다.

배전망 운영 최적화를 통한 전력망 효율화를 위해 접속용량은 상향되고, 필요할 경우 원격 제어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선(先) 접속 후(後) 제어(Connect & Manage) 제도’가 도입된다.

또 정부는 과도하게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따른 재생에너지 사업자 기회비용 보상과 전력계통 변동성 유발에 대한 책임 측면에서 합리적인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기준과 배전설비 고장 시 재생에너지 전력망 탈락 방지 등 전력계통 회복을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기준 등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는 등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추진되는 1.4GW 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과 2034년까지 발전설비용량 1.8GW 규모 양수발전소 건설 등이 차질없이 이행된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변동분을 저장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ESS와 양수발전, P2H(Power to Heat) 등이 시장에서 확보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력망 관련 기능별 기관 책임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배전망운영자제도가 도입되고, 그에 따른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전력망을 운영하기 위한 배전감독원 설립도 추진된다.


지역 그리드 균형 협의 활성화
수요분산 촉진 위한 제도 마련

정부는 기존 전력계통 시스템 전반을 재정립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지역 그리드 정착과 수요 분산, 시장 메커니즘 강화 등 기반을 구축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지자체 주도 권역별로 필요한 전력의 생산 계획과 필요할 경우 적극적인 전력수요 창출 유치 등으로 지역 간 융통 최소화 등 권역별 수급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전력망을 구축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또 정부는 현재 운영 중인 지역에너지센터 계획과 연계한 지자체 전력망 정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소통협의체를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라 2022년까지 전력 사용 예정자를 위한 전력계통정보공개시스템이 구축되고 2023년부터 대규모 전력 소비 시설을 대상으로 한 전력계통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된다. 수요 분산을 촉진하기 위한 차원이다.

시장·기술·인력 등 전력계통 전반에 대한 메커니즘도 강화된다.

정부는 2022년 전력계통 여건을 반영한 발전계획·가격결정 등을 통해 전력시장과 전력계통을 연계한 실제 계통 기반 하루 전 시장, 2023년 재생에너지 입찰을 허용하고 입찰한 발전량 이행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입찰제도, 2025년 실제 수급 여건에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실시간 시장 신설과 예비력 상품을 거래하는 보조서비스시장 등을 각각 도입한다.

이와 함께 P2G(Power to Gas), P2H(Power to Heat), V2G(Vehicle to Grid) 등의 핵심기술 실증과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