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타임즈】 한전산업개발 공기업화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조만간 한자리에 모인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둘러싼 방향이 정해진 후 모든 이해관계자가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전력업계에 따르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학영 위원장과 황운하·이규민·이성만 의원(더불어민주당)의 보좌관(비서관)은 오는 24일 국회에서 한전산업개발 공기업화 관련 이해관계자인 자유총연맹·한국전력공사·발전공기업·근로자대표 등의 실무관계자 등과 논의의 시간을 가진다.
이날 회의에서 결론이 날 가능성은 희박하나 한전산업개발 공기업화를 둘러싼 입장을 확인하고 중재하는 장이 된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발전공기업 연료·환경설비 운전업무 관련 70%가량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한전산업개발은 1990년 한전 자회사로 출범한 후 발전5사 연료·환경설비 운전업무를 수의계약으로 수행했으나 2003년 민영화정책으로 한전이 자유총연맹에 지분 51%를 매각하면서 민간기업의 모습을 갖춘 바 있다. 또 2010년 주식을 상장된 바 있으며, 자유총연맹은 한전산업개발 지분 31%, 한전은 29%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2019년 5월 발전공기업 연료·환경설비 운전업무 정규직 전환 노·사·전 협의체는 논의를 시작해 당정 권고를 바탕으로 8개월 뒤인 2020년 1월 한전산업개발 공기업화란 결론을 도출했다.
이로써 한전은 한전산업개발 공기업화를 위해 자유총연맹의 지분 최소 3% 이상을 매입해야 한다. 다만 이 협의체는 자유총연맹의 모든 한전산업개발 지분을 한전이 매입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1년 4개월간 한전과 자유총연맹의 고위직 간부가 한 차례 만났고 두 차례에 걸쳐 공문이 오간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