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하나로 뭉쳐 시너지효과 극대화시켜야”
-기후변화센터 고건 이사장-
“기후변화 대응, 하나로 뭉쳐 시너지효과 극대화시켜야”
-기후변화센터 고건 이사장-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08.04.14 10:5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경·영역 뛰어 넘어 실질적 연대 구심점 돼야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기업 자발적 감축 유도

세계 이목이 기후변화대응에 집중되고 있다.

환경을 지키는 것, 기나긴 시간과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경우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은 높았으나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일에는 서툴렀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또 각 분야별로 다양한 대응책을 제시하나, 하나의 문제로 통합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연결고리가 없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최근 이 문제를 합리적으로 풀어보자며 민간을 주축으로 기후변화센터가 출범됐다. 기후변화에 대한 범사회적 대응책을 연구하고 방안을 모색해 보자는 취지다. 센터 초대 이사장에 고건 전 총리가 추대됐다.
본지 황보준 국장은 지난달 21일 연지동 사무실을 방문해 앞으로의 센터 운영과 관련사업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주>



-최근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대응이 이슈로 부각되는 등 어려운 시기에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직책을 맡아 취임했는데 앞으로 각오는.

▲기후변화는 이제 인류의 평화와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다. 그럼에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10위에 달하는 우리나라는 관심과 노력이 미미한 것 같다. 이제 이 문제는 어느 한 단체나, 어느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이 상황 속에서 기후변화센터는 국경과 영역을 뛰어넘어 실질적인 연대를 실현하는 구심점 역할을 한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원과 더불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생활을 실천할 계획이다.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직책을 맡게 된 특별한 계기는.

▲그동안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의무국서 제외돼 있어 기후변화문제를 강 건너 불 보듯 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발리 로드맵에 따라 포스트교토체제서 우리나라도 감축의무를 갖게 됨에 따라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정부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 각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해야 한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문제. 국민의 한 사람으로써 정부에 참여했던 공직자로써 책임감을 갖고 동참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해 무거운 책임이지만 이 직책을 맡기로 했다.

또 총리 시절, 환경문제가 사회 갈등의 핵심 문제로 가장 풀기 어려운 일임을 절감했다. 그러나 기후변화 문제는 우리나라 각 영역은 물론 지구촌의 공동과제인 만큼 서로 협력해야만 풀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후변화센터는 앞으로 어떤 역할은.

▲정부·지자체·기업·학계·시민단체 등에서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만 서로간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것 같다. 이에 센터는 부문간의 벽을 헐고 각계의 기후변화대응 노력이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시급히 내놓아야 할 정부 정책은.

▲우선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이 수립돼야 한다. 정부는 국가적 이산화탄소 감축목표량을 정해 공표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세부 실천계획을 만들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기업과 국민, 지자체가 동참할 수 있는 행동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또 공직자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정책을 만들어 낼 수 있을 정도의 환경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지금 공직자는 환경지식만 갖고 있을 뿐 행동으로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센터의 ‘기후변화 최고위과정’ 등으로 환경마인드를 배양시킬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정부가 앞장서서 공공기관별 에너지 총량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좋은 방안 중 하나다.


-기업이 앞장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데 기후변화대응에 기업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은.

▲환경의 사회적 책임론만 기업에 요구할 것이 아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나설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예를 들면 환경을 고려한 제품을 만들 경우 인센티브 주는 것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또 센터의 ‘기후변화 최고위과정’ 등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CEO의 마인드를 바꾸는 작업도 필요하다.

얼마 전 팀 플래너리 교수가 기후변화 시민포럼에 참석해 지금의 위기가 한국에겐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다. 더 이상 저가다량생산의 한국식 경제모델은 통하지 않음을 시사했다. 그 대안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녹색경제로 가야 하는데 그러려면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고,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앞서 나간다면 주도권을 쥘 수 있고 얘기했다. 우리 기업도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인식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국제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은.

▲기후변화의 가장 큰 피해자는 아시아 개도국. 이들을 위해 센터는 매년 10개국 시민사회단체를 선정해 지속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예를 들면 ‘임업 청정개발체제(CDM) 전문인력 양성 사업’. 이 사업은 국토가 황폐화된 개도국에 임업 전문인력을 양성해 나무를 심게 하는 것. 이 사업이 유엔에서 승인해 주는 CDM사업으로 인정될 경우 온실가스도 줄이고 탄소 배출권도 확보할 수 있어 1석 2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우리나라보다 기후변화 대응이 앞선 선진국 단체들과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사업을 펼쳐나간다. 내년 2월에 뉴욕자연사박물관과 함께 기후변화 전시회를 갖고 전국 여러 도시를 순회하며 이 문제가 전 지구적 문제임을 인식시킬 예정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위해 센터는 어떤 계획은.

▲기후변화센터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시민포럼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에코리더십 과정 등 사회 전반의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또 각 부문간의 정보소통을 위해 기업·학계와 해외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이를 토대로 자료집을 발간해 유통시킬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얼마 전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기후변화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우리 국민들의 인식지수는 매우 높은데 반해 실천의지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을 지키는 것은 지금 세대는 물론 우리 아이들을 위한 가장 든든한 투자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실천이 모이면 큰 변화의 물결이 만들어진다. 우리 스스로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가까운 거리는 걸어가지, 과도한 냉·난방 하지 않기, 환경단체에 기부하기 등 미래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나부터 솔선수범 할 것이다.


<프로필>
▲1938년 서울 출생 ▲1960년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1961년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1971년 서울대 환경대학원 졸업 ▲1971년 내무부 지역개발담당관/새마을담당관 ▲1974년 강원도 부지사 ▲1975년 전라남도 지사 ▲1979년 청와대 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1980년 국토개발연구원 고문 ▲1981년 교통부 장관 ▲1981년 농수산부 장관 ▲1983년 미국 하버드대 객원 연구원 ▲1984년 미국 MIT대학 국제문제연구소 객원 연구원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1987년 내무부 장관 ▲1988년 제22대 서울특별시장 ▲1992년 원광대 명예 법학학사 ▲1994년 명지대 총장 ▲1997년 제30대 국무총리 ▲1998년 민선2기 서울특별시장 ▲2001년 미국 시라큐스대학 명예법학박사 ▲2003년 제35대 국무총리 ▲2004년 대통령 권한대행 <현재> ▲명지대 석좌교수 ▲국제투명성기구 자문위원 ▲에코포럼 공동대표 ▲미국 시라규스대 이사 ▲헤리티지재단 자문위원 ▲희망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