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미국 등서 열병합발전 열풍…그렇다면 우리는?
유럽·미국 등서 열병합발전 열풍…그렇다면 우리는?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6.09.06 10:2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전문가, 정부정책 등에 업고 열병합발전 활성화 소개
국내전문가, 열병합발전 활성화 걸림돌로 규제·제도 지적

【에너지타임즈】신(新)기후체제 출범 후 유럽을 중심으로 열병합발전에 대한 관심이 큰 폭으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분산전원으로써 열병합발전이 우리나라에서도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잇따랐다.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분명하나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답답함이 쏟아졌다.

한국집단에너지협회(회장 유정준)는 지난 5일 더-케이호텔(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열린 '제15회 국제에너지기구-지역냉난방분과(IEA-DHC) 지역냉난방 국제학술대회'에서 '열병합발전을 통한 에너지신산업 생태계 조성방안(Role of CHP in the New Energy Era)'이란 주제의 열병합발전(CHP) 특별세션을 개최했다.

먼저 주제발표에 나선 해외전문가들은 신(新)기후체제에 대비한 핵심 에너지원으로 분산전원인 열병합발전을 손꼽았다. 정부의 지원정책이 활성화돼 있음을 소개했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베르트 뵈르너 대리대사는 최근 원전폐쇄정책을 결정한 뒤 독일의 에너지전환정책 관련 "독일은 205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 90~95%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80% 수준으로 증가, 1차 에너지소비를 2008년 대비 50% 감축 등을 목표로 한 에너지전환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이용효율이 높이자는 차원에서 열병합발전의 확대 보급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kWh당 23원에서 67원까지 발전량에 비례해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폴 보스 유로히트&파워(Euroheat & Power) 상무이사는 유럽의 전력공급 12%를 차지하는 것이 열병합발전이라고 언급한 뒤 앞으로 5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그는 "유럽연합은 화석연료 중심의 중앙집중식 에너지시스템에서 분산전원으로 전환해 가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한 뒤 "신재생에너지와 더불어 열병합발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수준이 점차 높아져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프랭크 펠더 뉴저지주립대학교 교수도 "열병합발전에 대한 미국에서의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미국 정부도 에너지효율과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 등 보다 청정한 에너지원을 지원하는 폭 넓은 에너지와 환경정책을 통해 열병합발전을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우리나라 전문가들도 열병합발전의 필요성을 어필하면서 뒤따라주지 못하는 정부정책에 목소리를 높였다.

김영산 한양대학교 교수는 "열 요금을 지역난방공사 기준 상한에 걸려 원가에 미치지 못한 요금을 정산 받고 있는데다 전기요금에도 도매요금의 하락과 열 제약발전으로 인한 페널티 등으로 사업자들이 생존기반을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허성욱 서울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 열병합발전산업은 기후변화대응이란 큰 도전을 받고 있다"고 언급한 뒤 "1992년 제정된 현행 집단에너지사업법으로는 급변하는 이 산업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한 뒤 "기후변화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법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유정준 집단에너지협회 회장도 "우리나라 열병합발전사업자들이 각종 규제로 인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면서 "고효율 친환경시설인 열병합발전이 온실가스 감축과 분산전원 확대를 위한 핵심수단으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사업자 입장을 대변했다.

한편 열병합발전은 화석연료 수입량 절감으로 미세먼지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폐열과 소각열 등 미활용에너지를 활용해 국가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열병합발전은 분산전원으로서 수요처 인근에 건설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송전망 건설로 인한 사회적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장거리 송전으로 인한 전력손실저감은 물론 전력수요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