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차 전력수급계획 석탄발전 연속성 유지해야
<사설> 7차 전력수급계획 석탄발전 연속성 유지해야
  • 에너지타임즈
  • webmaster@energytimes.kr
  • 승인 2015.05.15 20: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타임즈】발전5사의 신규 석탄발전사업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배제되는 방향으로 전력당국의 입장이 정리되는 분위기다. 당장 중부발전을 제외한 나머지 발전5사의 건설사업은 현재 진행되는 공사가 마무리되면 사실상 전무하게 된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을 추진하는 석탄발전은 ▲남동발전의 영흥화력 7·8호기(87만kW급×2기) ▲서부발전의 하동K프로젝트(100만kW급×2기) ▲남부발전의 삼천화력 3·4호기(100만kW급×2기) ▲동서발전의 신호남화력(100만kW급×1기) 등이다. 그나마 동서발전만 기존 발전소를 대체하는 대체사업이기 때문이 그나마 희망을 갖고 있는 눈치다.

현재 남동발전 건설사업은 최근 영흥화력 5·6호기가 준공되면서 전무한 상태다. 서부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은 현재 건설 중인 태안화력 9·10호기(100만kW급×2기), 삼척화력 1·2호기(100만kW급×2기), 당진화력 9·10호기(100만kW급×2기) 등을 조만간 준공시키면 남동발전과 비슷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발전5사를 중심으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석탄발전이 대거 배제될 경우 원전가동중단 등에 따른 전력공급능력 감소나 산업 활성화로 인한 산업용 전력수요 급증 등으로 다시 전력대란을 맞을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9.15 순환정전사태는 실제로 전력공급능력이 부족해서 발생하지 않았다. 일부 대형전원이 계획예방정비에 들어갔고, 기온이 평년보다 높으면서 전력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후 원전 시험성적서 위조 등 일부 원전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전력공급능력이 크게 떨어졌고 전력수급난은 현실로 다가왔다.

당시 전력공급능력이 부족해 전력수급난을 겪은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력당국은 전력공급능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력정책을 추진했고 그 결과 전력예비율이 높아지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전력당국이 즉흥적으로 전력정책을 폈다는 것은 최근 준공되는 대형전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석탄발전의 경우 우리나라 단위용량 최대인 100만kW급 ▲당진화력 9·10호기 ▲삼척화력 1·2호기 ▲신보령화력 1·2호기 ▲태안화력 9·10호기 등이 이미 본격적인 시운전에 들어가는 등 내년이면 모두 상업운전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총 발전설비용량은 800만kW.

원전의 경우도 ▲신월성원전 1·2호기 ▲신고리원전 3·4호기 ▲신한울원전 1·2호기 등이 시운전과 상업운전을 시작할 경우 전력공급능력은 680만kW나 늘어나게 된다.

가스발전을 제외한 원전과 석탄발전 등 기저부하만으로도 우리나라 전체 전력공급능력의 15% 수준에 해당하는 1480만kW의 전력공급능력이 늘어나게 된다. 현재 전력예비율에서 조만간 15%가 더 늘어나는 셈이다.

그 결과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이 양산되고 신재생에너지 등 관련 산업의 진입을 사실상 어렵게 만드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전력예비율이 높아지고 계통한계가격(SMP)이 낮게 형성되면 신재생에너지 환경도 그리 좋지 못하게 된다. 또 수요관리사업도 지지부진하게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한때 입버릇처럼 나오던 에너지절약이 어느 순간 싹 사라져 버린 것이 이를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통상 원전이 10년, 석탄발전은 7년, 가스발전은 2년의 건설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기저부하인 원전과 석탄발전은 가스발전보다 상대적으로 전력수급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석탄발전의 연속성은 필요하다.

전력수급난이 발생하고 바로 건설에 들어가더라도 원전의 경우 10년 뒤, 석탄발전의 경우 7년 뒤에나 가동되기 때문이다.

안정적인 기저부하인 원전과 석탄발전을 기반으로 첨두부하인 가스발전인 급변하는 전력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수립됐어야 하나 사실상 그렇지 못했던 셈이다.

게다가 석탄발전의 연속성은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