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특수성 인정받지 못하는 ‘현장’
-김진철 기자-
원전 특수성 인정받지 못하는 ‘현장’
-김진철 기자-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3.06.13 21: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불거진 원전사태, 우리나라 원전산업의 발전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고민할 시점이다.

2년 넘게 질질 끌어온 원전비리, 해법을 찾지 못하고 원전종사자의 스트레스 지수만 높였다. 원전이 안전하게 운전되기 위한 조건 중 최고는 최상의 원전설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그에 버금가는 것은 원전을 운전하거나 일선에서 관리하는 원전종사자의 스트레스 지수다. 정신적으로 깨끗해야 그만큼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탓이다.

그렇다면 원전의 특수성을 말하는 이유는 뭘까. 바로 수천 개의 설비와 부품의 조화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원전산업은 무척 조심스럽고 정교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 특히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수십, 수만 명에 달하는 인명피해를 낼 수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렇다면 원전현장의 환경은 어떨까. 지난 정권의 선진화정책으로 고질적인 인력부족을 겪는데다 최근 불거진 원전비리 여파로 한수원이 강제순환보직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숙련자들은 대거 자리를 옮겼다. 게다가 원전사태가 불거질 때마다 규제는 한층 강화됐다.

정부나 국민은 원전의 특수성을 인정하면서 안전을 최우선으로 손꼽는다. 다만 정작 원전현장은 그 특수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원전노동자는 신입직원이 입사한 후 최소한 5년 이상이 돼야만 현장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들이 숙련자가 되기 위해 5년의 시간이 필요한 셈이다. 그만큼 여유 인력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더군다나 강제순환보직으로 숙련자들이 대거 자리를 옮기면서 업무공백에 따른 스트레스도 만만찮다. 노형이 같다고 하나 원전마다 관리하는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아무리 숙련자라고 해도 자리를 옮기면 제로베이스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원전비리를 근절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의 원전노동자 스트레스 지수도 챙겨야 한다. 그 첫 번째는 말로만 원전의 특수성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원전 현장에서도 원전의 특수성을 인정할 수 있는 환경을 반드시 조성해야 한다.

원전비리 근절하고 국내 원전산업 포기할 것인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