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바이오매스로부터 액체연료 기술개발
<칼럼> 바이오매스로부터 액체연료 기술개발
  • 에너지타임즈
  • webmaster@energytimes.kr
  • 승인 2010.10.29 20: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영순 박사(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얼마 전 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발표한 우리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투자현황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미래유망신기술(6T) 분야와 관련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액 비중이 65.5%를 차지하고 있고, 최근 5년간 BT(Biology Technology)와 ET(Environment Technology) 분야의 연구비 증가율이 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우리나라에서 추구하고 있는 녹색성장기술의 큰 축일 뿐 아니라 인류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기술개발의 큰 흐름이 친환경적인 제품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방향으로 지향해 나아가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크다. 또한 에너지 생산에 접목돼 청정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원의 하나인 바이오매스의 활용에 기대된다.

대표적인 바이오매스로는 나무, 곡물, 식물, 농작물 찌꺼기, 축산분뇨, 음식 쓰레기 등이 있는데 나무처럼 가공하지 않는 형태로 쉽게 연소하여 열을 생산하거나 가공해 자동차 연료나 전기를 생산·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바이오매스는 화석연료로 활용할 시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에 배출하는 방향으로만 소비되는 것과는 달리 바이오매스 식물이 탄소동화작용으로 에너지 가공 및 활용시 발생되는 만큼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부터 흡수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발생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는 에너지다.

바이오매스로 주목 받는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흡수해서 성장하는 것들이다. 식물들이 빨리 자라나기 때문에 해마다 일정한 양을 거둬 들여 직접 이용하거나 가공하면 바이오-메탄올, 바이오-에탄올, 바이오-DME (Dimethyl-ether), 바이오-디젤 등 같은 액체연료를 얻을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풍부한 자원이 있다는 점 이외에도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이라는 점에서 유용하다. 최근 미국은 정부주도로 상용화 기술개발과 보급을 추진하고 있고 연료용 알콜 보급과 매립지 가스 활용에 주력하고 있다.

유럽은 바이오디젤 보급과 메탄가스 발전시설로 대체에너지의 70% 이상을 바이오에너지로 공급하려고 하고 있다. 일본은 도시쓰레기 소각열 발전과 메탄올 생산 및 이용, 스웨덴 볼보 자동차를 비롯하여 유럽 국가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2단계 연구를 목질계 바이오-DME 등 액체연료 기술개발에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신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DME를 천연가스 이외에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하는 기술개발도 함께 추진돼야 할 것이다.

2007년 7월 지식경제부 ‘DME 보급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2013년 DME 연료보급을 목표 하에 2009년 6월 DME를 석유·대체 연료법 및 DME 혼합연료(20%DME, 80%LPG) 시범보급을 위한 특례고시를 지난해 11월 제정한 바 있다.

지난 9월 9일 강릉시 동방도시가스산업에서 발대식을 시작으로 약 1년간 전국 4개 지역의 충전소(강릉-동방도시가스산업, 목포-목표도시가스, 포항-천일가스, 영광-영진에너지)를 통해 가정에 DME-LPG 혼합연료 시범보급에 이르렀다.

총 400개소의 가정과 상업용으로 DME-LPG 혼합연료의 충전 및 공급시설의 안전성과 연료의 편리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빠르면 2012년경 DME연료를 국민의 생활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대부분 DME 연료생산은 해외 중·소형 가스전을 활용 가공해 사용하고 있지만, 이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액체연료(bio-DME)를 생산해 공급하는 기술개발도 함께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정부에서도 녹색성장을 위해 바이오매스 활용을 다각적으로 검토 추진하고 있고, 특히 대체 천연가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법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은 기대되는 일이다.

바이오매스 활용이 국내 현실에 맞는 에너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에너지의 장기 수급 및 가격 안정성, 인프라 구축, 보급 관련 국내 제도, 유통 및 보급 방안, 국내 기술개발의 타당성,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대한 분석 및 최적 방안을 고려해 정책을 펼쳐 나가길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