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인천기지 가스누출…알고 보니 전말은?
가스공사 인천기지 가스누출…알고 보니 전말은?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7.11.16 16:0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장에서 사고로 전환되면서 가스공사 보고 의무 뒤늦게 발생
가스공사 지역주민 소통부재 따른 것으로 보고 대책마련 고심

【에너지타임즈】가스공사가 때 아닌 홍역을 앓고 있다. 가스공사 인천생산기지 내 가스누출사고가 뒤늦게 알려지면서 은폐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사고발생에 따른 대응매뉴얼이 정상적으로 이뤄졌으나 여론은 여전히 은폐의혹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 논란의 전말은 이랬다.

발달은 지난 4일 20시 40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가스공사는 LNG(액화천연가스)선에 실려 있는 LNG 하역작업을 기지 내 1호기 등 11개 저장탱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정상적인 하역작업이 진행됐으나 지난 5일 07시 19분경 1호기 내 압력게이지가 이상현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당시 1호기 내 압력은 17.84kPa에서 33분 뒤인 07시 52분까지 27.1kPa로 급상승했다.

가스공사가 이상현상을 감지한 시점은 이날 07시 33분경. 운전원은 1호기 내 압력이 급상승하고 있음을 파악한 뒤 하역작업을 수동으로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당시 하역작업은 이 조치로 중단됐으나 압력게이지가 계속 올라가면서 07시 50분경 1차 안전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됐다. 그 결과 소각탑에서 소각되면서 1호기 압력은 26.5kPa로 낮아졌다. 또 3분 뒤 2차 안전장치이자 저장탱크 내 LNG 자연기화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BOG(Boil Off Gas)가 3회에 걸쳐 작동됐다. 그 결과 1호기 압력은 29.0kPa로 낮아진데 이어 08시 35분경 정상상태로 돌아왔다.

1호기 내 압력이 급상승한 원인으로 1호기 내 탱크액위측정기가 오작동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저장탱크 내 2기 측정기가 운영되고 있으나 1호기의 경우 1개 측정기가 고장으로 인해 정비 중이었고, 나머지 1개 측정기만 작동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기 전 어느 시점에서 동작이 멈췄다. 이 측정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시점은 07시 19분경인 셈이다.

이 측정기는 차량연료게이지처럼 게이지를 바로 정밀하게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압으로 측정하다보니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하역작업을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압력과 레벨이 올라갔던 이유라고 가스공사 측은 설명했다.

한동근 가스공사 생산운영처장은 “정비 중이었던 측정기는 앞서 일제점검에서 발견된 바 있다”면서 “외산인 탓에 정비에 상당시간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후 가스공사는 08시 57분경 펌프로 1호기 내 LNG 레벨을 강하시키는 등 모든 절차를 정상화시킨데 이어 현황파악과 점검반을 편성한 뒤 점검에 나섰다.

여기까지가 탱크액위측정기 오작동에 따른 고장이다. 사고가 아닌 셈이다. 그러나 사고로 전환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가스공사는 점검반을 편성해 점검에 나선 결과 이날 14시 30분경 1호기 지붕에서 소량의 가스누출을 확인했다. 가스누출이 확인되면서 이 논란은 고장에서 사고로 전환된 시점이다.

이후 가스공사는 관련 매뉴얼에 의거 1시간 동안 세 차례에 걸쳐 반복측정을 하는 등 ‘LNG 저장탱크 가스누출 대응지침’에 의거 가스검지확인 후 15시 40분경 한국가스안전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에 가스누출확인을 보고했다.

미량의 가스누출에 대해 가스공사 측은 저장탱크 내 용기의 레벨이 높아진 상태에서 압력을 낮추기 위한 2차 안전장치인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BOG 작동에 따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용기 내 출렁거림이 발생했고, 그 결과 LNG가 내·외조 사이로 일부 넘치면서 작은 균열이 발생한데 이어 콘크리트 내 기공을 타고 누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내·외조 사이 공간에 18개 온도센스가 설치돼 있는데 이중 1개만 감지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처장은 “콘크리트에 아무리 작은 균열이라도 발생했다면 소량의 가스누출이 아니라 대량의 가스누출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 “현재 가스누출현상을 감안할 때 균열에 따른 것은 아닌 것으로 봐진다”고 설명했다. 또 “다만 정밀조사를 해봐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이날 20시 20분경 가스공사와 가스안전공사는 공급대책위원회를 열어 1호기 저장탱크 안전관리대책 마련과 개방점검·정비 시행을 결정했다.

이어 가스공사는 사고 다음날인 지난 6일 관련 매뉴얼에 의거 보고의 의무는 없으나 지역관계기관인 인천시청과 연수구청(인천)에 조치현황을 보고했다. 매뉴얼에 따르면 가스공사로부터 보고를 받은 가스안전공사가 이들 지역관계기관에 보고를 하도록 규정돼 있다.

현재 가장 큰 논란은 은폐의혹이다.

가스공사가 이상현상을 감지한 시점은 07시 33분경, 최초로 가스안전공사와 산업부에 보고된 시점은 15시 40분경이다. 사실상 8시간 만에 보고됐다고 의혹이 있을만한 부분이다.

다만 엄밀히 따져보면 가스공사는 07시 33분경 이상현상을 감지한 시점부터 가스누출이 감시됐던 14시 30분경까지는 고장에 따른 조치였기 때문에 매뉴얼에 의거 보고대상이 아닌 셈이다. 다만 14시 30분경 가스누출이 확인되고부터 이 상황은 사고로 전환됐다. 따라서 관련 규정에 의거 보고의무가 생겼다. 따라서 가스공사가 매뉴얼에 의거 정상적으로 보고를 했기 때문에 은폐의혹은 아닌 셈이다.

그렇다면 뒤늦게 여론의 질타를 받은 배경은.

07시 50분경 1차 안전장치가 자동으로 동작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가스공사 인천생산기지 인근지역에서 낚시를 하던 낚시꾼들이 1차 안전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함에 따라 소각탑의 불꽃이 커졌고 화재로 오인한 신고가 잇따랐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천지역 한 방송이 이를 보도하면서 논란이 커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처장은 “평소 소각탑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만 운영하고 있다”고 언급한 뒤 “이날 1차 안전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소각탑 불꽃이 커졌기 때문에 신고가 이어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스공사는 이번 논란과 관련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판단한데 이어 매뉴얼에 따른 보고를 비롯해 별도로 지역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처장은 “가스공사는 지역주민들과의 신속한 정보공유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개정을 검토하는 한편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가스공사는 이번 사고의 후속조치로 27억 원을 투입해 13개월 동안 인천생산기지 1호기 내부정밀점검과 보수·보강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