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대형폐기물 임시보관…원전해체시장 선점 포석?
원전 대형폐기물 임시보관…원전해체시장 선점 포석?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6.08.30 09:5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훈 의원, 처리규정 마련하고 원전해체기술 확보 서둘러야
한수원, 국내 산업체 육성 등 고려한 철저한 준비과정 거쳐야

【에너지타임즈】계획예방정비 후 발생하는 원전설비인 증기발생기 등 대형폐기물이 처리되지 않은 채 원전본부 내 보관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한수원은 제염·절단·포장 등과 관련된 기술의 국산화가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국책과제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번 논란은 대형폐기물 처리기술의 부재에서 출발했다.

김정훈 의원(새누리당)이 한국수력원자력(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전의 계획예방정비로 배출된 원전설비인 증기발생기 등 처분용기에 포장해 운반하기 곤란한 대형폐기물이 제염·절단·포장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경주방사성폐기물처분장으로 이송된 것이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고리원전 1호기 증기발생기 2대와 원자로헤드 1대, 한울원전 1~4호기 증기발생기 10대 등 15대의 대형폐기물이 발생돼 원전본부 내 전용저장고에 보관 중이다.

방사성폐기물관리법 등 관련법에 따르면 원전본부에서 발생한 대형폐기물은 제염·절단·포장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인도돼야 한다. 이후 원자력환경공단은 관련 절차를 거쳐 경주방사성폐기물처분장에 최종 처분된다.

김 의원은 “현재 국내에서 대형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한 곳도 없다”면서 “대형폐기물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고를 마련하는데 막대한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 마련돼 있는 처리규정을 마련하고 아직 완료되지 않은 원전해체상용화기술의 확보를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내년 6월 고리원전 1호기 해체사업을 연계한 원전해체산업육성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반면 한수원은 이 의원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교체된 증기발생기 등 대형폐기물을 처분용기에 포장하기 위한 제염·절단·포장 등에 대한 우리나라에서의 경험과 실적이 없어 원전에서 발생한 대형폐기물 등의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을 원전본부 내 전용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현재까지 원전본부에서 발생한 대형폐기물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정부에서 제반사항을 정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면서 한수원 측은 현재 원전본부 내 보관중인 대형폐기물을 처분할 수 있지만 외국기술에 의존해야 한다고 언급한 뒤 이렇게 될 경우 국내 기업의 기술 확보와 주도적인 사업의 참여가 제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한수원은 고리원전 1호기 해체과정과 연계한 기존에 발생한 대형폐기물을 제염·절단·포장 등의 처리과정을 거친 뒤 처분키로 하고 현재 국책과제로 관련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경주방사성폐기물처분장으로 대형폐기물을 옮겨서 처분하는 것은 원전해체기술개발과 2019년 12월 준공될 원자력환경공단의 표층처분장 준공, 국내 산업체 육성 등을 고려해 철저한 준비를 거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