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공사-발전사, 탄광개발 하모니 맞추면 어때?
석탄공사-발전사, 탄광개발 하모니 맞추면 어때?
  • 김진철 기자
  • kjc@energytimes.kr
  • 승인 2016.01.03 18: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0년대 정점 찍은 석탄산업…난방시장 다변화로 쇄락의 길
탄광 운영할수록 빚 쌓이지만 쉽사리 포기할 수 없는 산업
안보·경제 측면서 담보한 안정적인 연료공급 원하는 발전사
#. 글쎄요. 무슨 답을 찾을 수 있을까.
#. 그냥 그러다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겠지.
#. 환경변화에 대응을 잘 했어야 했는데.
#. 공기업 중 최고 골칫덩어리 아닌가.
#. 이제 완전히 끝난 산업 아닌가.
#. 정부도 손 놓은 분위기이던데.
#. 통일, 언제 될 줄 알고 그때까지.
#.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탄광이라니.

【에너지타임즈】우리나라 석탄산업과 석탄공사에 대한 묻자, 나온 대답들이다.

1980년대까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이 산업과 기업은 쇄락의 길에서 이와 같은 부정적인 말을 듣는 신세가 돼 버렸다. 이 시대의 골칫덩어리가 된 셈이다.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그래서 그냥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서울올림픽이 열린 1988년. 우리나라 석탄생산량은 최고점을 찍었다.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 증가 등의 영향을 받아 석탄생산단가가 상승했고, 오일쇼크는 그 동안 연탄에만 의존하던 난방연료의 다변화로 이어졌다. 도시가스 공급이 연탄을 대체하기 시작했고, 골목길에 즐비하던 연탄재는 어느 순간부터 사라지기 시작했다. 지금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찾아볼 수 없는 구시대의 유물이 돼 버렸다.

우리나라 석탄산업의 성장곡선이 최고점을 찍었던 1988년 전국에서 운영된 탄광은 모두 347곳. 이제는 5곳의 탄광만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그 동안 이 산업에 적을 뒀던 기업들은 석탄산업 사양화란 특수성으로 인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도시가스회사로 업종을 다수 변경했다.

석탄공사도 이 산업의 쇄락과 같은 길을 걷게 된다. 갑작스럽게 하락하기 시작한 석탄수요, 인력과 장비가 유지되는 반면 석탄생산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석탄원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인력감축이 단행되면서 퇴직충당금 등을 충당하기 위한 자금을 은행으로부터 차입하게 됐다. 이 차입금은 이자에 이자를 물면서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고 있다. 아직도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산업계는 쉽게 손을 놓지 못하고 있다. 남북통일에 대비한 것도 있지만 노천채광이 가능한 탄광의 수가 줄어들 경우 동굴채광을 해야 하는데 이 방식의 노하우와 기술을 일본과 함께 우리가 갖고 있기 때문이다. 머지않은 미래에 이 노하우와 기술이 크게 각광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모두가 외면하고 있는 석탄산업과 석탄공사. 그 동안 쌓아온 노하우와 기술이 활용될 수는 없을까. 또 이들이 자생할 수 있는 방안은 정말 없을까.


석탄산업…과거의 영광에서 쇄락의 길로

정부는 난방·취사연료공급을 위해 1960년대부터 정책적으로 석탄증산을 유도해왔다. 그 결과는 1980년대 연간 2000만 톤 규모의 석탄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과거의 영광이다.

이도 잠시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 증가, 청정연료 선호, 석탄생산단가 상승 등의 환경영향을 받으면서 산업은 쇄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게다가 1986년 열린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열린 서울올림픽은 석탄수요 하락세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했다. 당시 서울시가 이 국제행사를 앞두고 신축주택에 연탄의 사용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연탄에만 의존하던 우리나라 난방연료시장은 다변화시대를 겪게 된다. 원인은 오일쇼크. 석유·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도시가스 등의 새로운 난방연료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1987년 천연가스가 공급되면서 가정·상업부문 연료전환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결과는 참혹했다. 1986년 2739만 톤에 이르던 석탄수요는 5년 뒤인 1991년 1737만 톤으로 1002만 톤이나 줄었다.

석탄수요가 급격하게 줄어들자 호황을 누리던 탄광들의 도산이 속출하기 시작했고, 근로자 임금체불과 이직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특단의 조치를 내린 정부. 정부는 경제성 없는 탄광을 폐광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석탄사업합리화정책을 1989년부터 추진하게 되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탄광은 석탄공사의 장성·도계·화순광업소와 (주)경동의 상덕광업소, (주)태백광업 등 모두 5곳.

1988년 347곳이던 탄광은 2015년 12월 기준 5곳, 석탄생산량은 지난 1988년 2429만 톤에서 2012년 209만 톤, 근로자 수는 6만2259명에서 3808명으로 각각 크게 줄었다.

현재 운영 중인 5곳 탄광에서 생산하는 석탄생산량은 2008년 211만6000톤, 2009년 198만1000톤, 2010년 199만2000톤, 2011년 169만1000톤, 2012년 169만1000톤, 2013년 168만6000톤, 2014년 135만9000톤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 아직도 악순환 진행형

쇄락의 길로 접어든 석탄산업, 석탄공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석탄공사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1950년 11월 1일 자본금 1000만 원과 9개 광업소로 출범했다. 탄광을 인수하면서 1980년대까지 승승장구하던 시대를 지나 쇄락을 길을 걸었고, 지금은 애물단지가 돼 버렸다.

최근 석탄공사 경영현황을 살펴보면 그 심각성이 크게 부각된다. 2008년 2116명이던 근로자는 2014년 1359명으로 크게 줄었다. 석탄공사 석탄생산량도 2008년 134만7000톤, 2009년 135만3000톤, 2010년 133만3000톤, 2011년 107만6000톤, 2012년 110만 톤, 2013년 110만9000톤, 2014년 102만2000톤으로 내년 줄어들고 있다.

반면 부채는 2008년 1조3760억 원, 2009년 1조3100억 원, 2010년 1조3058억 원, 2011년 1조4299억 원, 2012년 1조4467억 원, 2013년 1조5267억 원 2014년 1조5604억 원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석탄산업 사양화란 특수성에 따른 효율성 저하와 금융비용 상승은 지금의 석탄공사를 만들어냈다.

1989년 석탄산업합리화정책 시행 이후 석탄공사는 석탄생산량을 줄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석탄원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졌다. 인력과 장비가 유지되는데 반해 석탄생산량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석탄생산량이 줄어들기 시작하자 석탄공사는 인력감축을 단행한다. 이 과정에서 석탄공사는 인력감축에 필요한 퇴직충당금 등을 충당하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차입했고, 차입금에 대한 이자가 누적되면서 자연스럽게 차입금은 걷잡을 수 없도록 늘어난 상황이다.

석탄공사의 경영악화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석탄생산량 최고점을 찍었던 1988년, 552만 톤이던 석탄공사 석탄생산량은 2014년 102만2000톤으로 80%가량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장에 대한 시설투자가 늘어난데 이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맥여건이 나빠졌다. 그 결과 탄광 작업장은 깊고 길어져 생산단가 인상요인으로 이어지고 있다.

악순환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2005년경 석탄공사 청산문제가 크게 대두된 바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은행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이 쌓여있는데다 근로자들의 퇴직문제 등을 감안할 때 청산금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 고위 관계자는 “2005년 석탄공사 청산금은 5000억 원 수준이었으나 10년 뒤인 지금, 취합을 해봐야 알겠지만 몇 배로 뛰었을 것”으로 내다봤다.

권혁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11년 발표했던 ‘석탄산업 장기계획(2011~2015) 수립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석탄공사 자본잠식 주원인으로 탄력적인 인력운용의 실패와 과다한 차입금을 손꼽은 바 있다.

당시 그는 정부출자나 장기저리융자로 전환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최근 만난 권 선임연구위원은 “장기저리융자로 석탄공사 청산비용을 마련한 뒤 정부가 석탄공사에 지원하는 예산으로 이자와 원금을 갚아 나간다면 석탄공사 청산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0년 국회 예산정책처에서 발표한 ‘금융부채 과다 공공기관의 채무 / 사업관리의 문제와 개선과제’란 제목의 보고서는 과도한 석탄공사 차입금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근본적인 원인으로 석탄생산원가가 민영기업에 비해 높은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이 보고서는 석탄공사의 원가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미 있는 성과를 보이지 않을 경우 폐광을 포함한 적극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현재 추세라면 10년 안에 근로자 부족에 따른 탄광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대책마련이 시급함을 거듭 강조했다.


그래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석탄산업’

석탄공사 경영이 갈수록 악화되자 떠오른 것이 바로 구조조정이다.

유동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2013년 발표한 ‘석탄산업합리화정책 출구전략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석탄공사 구조조정방안으로 ▲현재 상태 유지 ▲민영화 ▲경영권 양도 ▲기업분리 Ⅰ (광업소별 독립 법인화) ▲기업분리 Ⅱ (광업소별 독립 법인화 한 뒤 일부 매각) 등 모두 5가지로 정리된다.

어느 것 하나 녹록한 것이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 보고서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대해 추가적인 경영개선 노력이 미흡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구조조정 방안으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나머지 4개 방안도 실현가능성에 전문가들은 물음표를 던진다.

석탄공사에서 보유한 탄광의 여건이 한층 열악해 더 이상의 생산유지가 곤란한 화순탄광 등을 인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 보고서는 갈수록 악화되는 석탄공사의 경영을 정상화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석탄산업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석탄공사가 갖고 있는 기능에만 국한할 필요가 없다는 것.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는 조언으로 풀이된다.

유 선임연구위원은 이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탄광이 산업의 하나로 존재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이익이라면 석탄공사가 기여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면서 “탄광 관련 근로자의 재교육이나 양성기능을 석탄공사에 부여한 뒤 새로운 기업목표를 부여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도 이렇다 할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서민용 난방연료로 석탄이 이용되고 있다는 점과 석탄산업이 우리나라 유일의 자급자족 화석에너지란 측면에서 우리나라 석탄산업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석탄산업을 섣불리 포기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는 남북통일 이후 북한지역에서의 석탄산업을 대비해야 하는 차원이다.

이뿐만 아니라 그 동안 석탄공사가 축적한 탄광개발 관련 노하우와 기술력. 석탄공사는 일본과 함께 동굴채굴에서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이 적자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석탄산업을 유지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현재 일본은 정부정책의 일환으로 최소한의 탄광을 유지하고 있다.

석탄공사 고위관계자는 “석탄도 조만간 고갈의 위기에 놓여 있고, 탄맥이 좋지 않은 탄광의 개발이 활성화될 경우 동굴채광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될 필요가 있다”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탄광기술은 고난도의 기술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권 선임연구위원은 “탄광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비롯해 탄광의 전체적인 설계, 해당 탄광의 탄맥을 찾아가는 기술, 탄광을 관리하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종합엔지니어링”이라고 설명했다.


60년 만에 첫 해외사업…가능성 점쳐져

석탄공사가 설립 60년 만에 첫 해외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들어보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성적표는 마땅찮다. 다만 새로운 시도에 대한 가능성만 확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10년 석탄공사는 첫 해외사업인 몽골 누르스트 훗고르탄광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다.

당시 석탄공사는 이 탄광의 지분 51%를 1000만 달러에 인수한데 이어 시험생산을 거쳐 본격적인 석탄(유연탄)을 생산했다. 자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탄광개발에 나섰고, 석탄을 생산하는 성과를 거뒀다.

석탄공사와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 석탄의 질이나 석탄매장량 등이 우수하고 사업의 확장성까지 갖춘 탄광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당시 사업보고서는 가채매장량 7600만 톤과 평균탄질 kg당 7000kcal, 평균 영업이익률 22.9% 등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5년이면 배당소득에 투자지분을 모두 회수할 수 있고 당기순이익이 2011년 8억 원, 2012년 32억 원, 2013년 55억 원 등에 이를 것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결과는 처참했다.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르면 이 탄광의 생산량은 2011년 8만5921톤, 2012년 1만4768톤, 2013년 1340톤 등에 머물렀고, 이 기간 판매량은 8.6%에 불과했다.

탄광개발이 성공적으로 추진됐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석탄공사의 발목을 잡는 골칫거리가 된 근본적인 원인은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 게다가 도로·철도 등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고, 2014년 하반기부터 추락한 국제유가는 현물시장에서의 판매마저 불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 탄광에서 석탄을 채굴할수록 손실을 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석탄공사는 수요처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탄광과 인접한 중국·러시아와 수출과 관련 된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다만 문제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것에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이 탄광에서 생산된 석탄을 판매할 수요처를 찾은 바 있다.

석탄공사는 첫 해외사업을 추진하던 당시 한 발전사와 자원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하게 된다. 당시 석탄공사는 몽골에서 생산된 석탄의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이 발전사에 석탄발전소를 건설해 줄 것을 제안하면서 성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양해각서는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석탄공사가 몽골의 탄광에서 생산한 석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사가 탄광 인근지역에 석탄발전소를 건설하겠다는 것. 몽골 탄광의 열악한 인프라를 극복하자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석탄공사와 발전사 협력은 결국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본지 취재결과 현재 이 협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MB정권 해외자원외교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발전사의 해외사업이 사실상 발목이 잡혔고, 그 결과 이 협력은 흐지부지 됐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석탄공사와 발전사의 첫 협업은 시도만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원인을 꼽자면 당시 국내외 여건이 녹록치 않았지만 지금은 되레 발목을 잡았던 이 요소들이 협업의 필요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발전사 탄광개발…안보·경제측면서 절실

우리는 이미 석탄발전 설계·건설·운영·유지보수 등 관련 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다. 해외에서의 시장점유율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부족한 것을 하나 손꼽는다면 안정적인 발전연료를 공급받는 것이다. 현재 발전사들은 발전연료인 석탄을 대부분 현물시장에서 구매하고 있다.

발전연료인 석탄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것은 안보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석탄발전은 우리나라 전력산업에서 원전과 함께 기저부하를 담당하고 있다. 발전설비용량이 대형인데다 가스발전 등의 첨두부하보다 발전단가가 낮아 가동률이 90%이상에 달한다. 안정적인 연료공급은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직결되는 셈이다.

국제석탄가격이 저가에 형성돼 있을 경우 발전사는 현물시장에서의 물량확보를 손쉽게 할 수 있지만 반대로 고가에 형성돼 있을 경우 발전사는 물량확보에 애를 먹게 된다. 최근 발전사가 발전연료 다변화를 모색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 발전사 연료팀 관계자는 “얼마 전 국제석탄가격이 고가에 형성돼 있을 당시 중국과 장기계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약물량을 보내주지 않아 애간장을 태웠고, 현재 몇 건은 국제소송 중”이라고 설명한 뒤 “우리(발전사)가 직접 탄광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연료를 공급받는 것이 가장 안전한 대응방안”이라고 말했다.

오래전부터 발전사는 이 부분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실제로 남부발전은 이 같은 이유로 인도네시아에서 직접 탄광개발에 나섰고, 탄광개발에 따라 확보된 발전용 석탄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다.

남부발전은 2011년 BK글로벌과 공동으로 매장량 2억 톤에 달하는 롱다릭(Long Daliq)탄광개발을 위한 지분투자계약을 체결한데 이어 10%의 지분을 투자함으로써 연간 300만 톤의 석탄을 확보한 바 있다. 2013년부터 이 탄광에서 생산된 석탄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다.

현재 발전사 경영도 미래를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새로운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탄광개발은 나름 호재다.

최근 신(新)기후체제대응으로 발전사는 더 이상 석탄발전의 확장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부쩍 늘어난 전력예비율은 기저발전기 간 경쟁을 유도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관측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0월경 석탄발전이 계통한계가격(SMP)을 결정하는 상황도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발전사가 앞으로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는 발전단가를 낮추는 것인데 발전단가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연료비를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SK E&S의 광양발전소가 다른 가스발전소에 비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현재 이 발전소는 발전연료인 천연가스를 직수입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발전사는 MB정권 해외자원개발 관련 해외사업에 발이 묶여 있으며, 이 사태가 일단락되면서 자가로 소비하는 발전연료에 대한 해외사업을 허용하는 것으로 정책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발전사는 안보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탄광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게다가 최근 국제유가 급락으로 탄광매물이 헐값에 쏟아지고 있는 상황에 탄광매수는 새로운 투자처로써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탄광개발…석탄공사-발전사 하모니 가능

탄광개발이 절실한 석탄공사와 발전사.

석탄공사에게 탄광개발은 현재의 경영위기를 돌파할 새로운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발전사은 안정적인 발전용 석탄수급과 미래 투자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이들의 공동관심사가 될 수 있다. 새로운 하모니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석탄공사은 그 동안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발전사는 탄광개발에 필요한 재원을 비롯해 종합적인 경제성평가와 계약노하우 등의 기술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전사 한 관계자는 “그 동안 발전사가 탄광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탄광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도전할 수 없다”고 언급한 뒤 “물론 해외에 관련 기업들이 있긴 하나 탄광개발은 성공확률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충분한 기술력을 갖고 있고, 믿을 수 있는 기업이라면 충분히 협력할 가치가 있다”면서 “현물시장에서 (석탄을) 구매하게 되면 위험부담을 줄겠으나 비용의 부담을 안게 되는 반면 탄광개발의 경우 위험부담이 있긴 하나 성공한다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인 연료수급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석탄공사도 몽골 탄광프로젝트를 통해 이미 발전용 석탄인 유연탄을 생산한 경험을 비롯해 그 동안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앞세운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문제는 지난 1995년 이후 석탄공사가 새로운 탄광개발을 하지 않음에 따라 기술력이 유지되고 있느냐다.

남효석 석탄공사 사외이사는 “석탄공사와 발전사가 협력해 탄광개발에 나선다면 모두에게 분명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상적인 사업모델”이라면서도 “관건은 석탄공사가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술력을 갖고 있느냐가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성공 포인트를 제시했다. 남 이사는 한전 출신으로 서부발전 관리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다.

석탄공사 측은 실제로 노하우와 기술력을 보유한 인력들이 퇴직한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까지 노하우와 기술력의 세대교체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뿐만 아니라 노하우와 기술력을 보유한 퇴직인력들이 주축이 된 연구소도 자체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탄공사 고위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석탄공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노하우나 기술력은 상당한 수준에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